본문 바로가기
공부/맥체인성경읽기

[맥체인 성경 읽기 해설 1] - 58일 차(2021.03.02)

by 젤리몬 2021. 3. 2.
반응형

2월 27일 - 58일 차 (2021.03.02)

 

출애굽기 10장 - 누가복음 13장 - 욥기 28장 - 고린도전서 14

 

출애굽기 10장

 

 

출애굽기 10장은 메뚜기와 흑암 재앙이 나옵니다. 메뚜기 떼는 모든 것을 파괴하는 혼돈을 상징합니다. 이제 애굽에 남아 있는 모든 농작물들이 메뚜기 떼에 의해 사라질 것입니다. 위기의식을 느낀 신하들이 바로를 설득하지만, 바로는 여전히 고집을 부립니다. 어른들만 예배를 드리러 나갔다가 다시 돌아오라고 합니다. 메뚜기 떼는 애굽 전역을 휩쓸었고 바로는 다시 한 번 거짓말로 위기를 모면합니다. 아홉 번째 재앙은 흑암입니다. 애굽의 최고의 신이 태양신이며 바로는 태양신의 아들로 일컬어졌다는 것으로 볼 때, 이 재앙은 상당한 충격을 안겨주었을 것입니다. 애굽을 보호할 수 있는 신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게 된 것입니다. 애굽을 보호할 수 있는 신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게 된 것입니다. 3일 간의 흑암 끝에 바로는 또다시 협상을 하려고 하는데, 이번에는 짐승들을 두고 가라고 합니다. 이것은 이스라엘 백성을 잡아 두려는 것입니다. 그의 어리석음 덕분에 애굽은 가장 큰 재앙을 맞이하게 됩니다. 당시 애굽은 첨단 지식을 지닌 문명국가였습니다. 지금도 신비롭게 여겨지는 피라미드를 건축할 만큼 훌륭한 기술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굽의 바로 왕은 어리석기 짝이 없었습니다. 그는 참된 지혜가 무엇인지 몰랐습니다.


 

욥기 28장

 

 

욥기 28장은 이와 같은 사람의 무지와 한계를 말합니다. 사람은 금과 은과 철과 동을 얻기 위해 어둠을 뚫고 바위를 쪼갭니다. 이와 같은 지식과 기술은 어떤 동물도 흉내낼 수 없는 사람만의 탁월함입니다. 그러나 이 탁월한 사람도 전혀 알 수 없는 것이 있는데, 인생의 지혜입니다. 땅속 길을 아는 사람이 자기 인생의 길은 전혀 알지 못합니다. 똑똑하다고 자부하는 사람이 오히려 미련합니다. '주를 경외함이 지혜요 악을 떠남이 명철'(28절)인데, 고집스러운 인간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알량한 잔꾀 몇 가지를 자랑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고집스러운 면모는 신구약을 가리지 않습니다.


누가복음 13

 

 

누가복음 13장은 당대의 종교인들과 그리스도를 비교합니다. 종교인들은 몇 가지 율법에 얽매여 삽니다. 그것을 알고 지키는 것이 그들이 알고 있는 진리의 전부입니다. 안식일에 귀신이 들려 허리가 굽은 여인을 예수님이 고치자 회당장 하나가 나와서 안식일 율법을 어겼다고 힐난합니다. 예수님은 안식일의 참된 의미를 되새겨주시는데, 안식일에는 진정한 쉼과 자유가 있어야 마땅하다는 것입니다. 자기 세계에 빠져 있는 사람들이 얼마나 어리석은지를 잘 보여주는 예화입니다. 수없이 율법을 읽고 가르쳐 온 회당장이었지만 그는 율법의 참된 의미를 알지 못하는 미련한 사람이었습니다. 참된 안식이 눈앞에 있는데, 곧 예수 그리스도가 눈앞에 있는데, 그는 자기의 신념을 고집하느라 놓치고 있습니다. 오늘날의 교회는 이것을 놓쳐서는 안 됩니다. 모든 율법과 계명과 은사는 그리스도를 위해 주신 것입니다. '나' 자신의 고집을 사수하느라 이것을 놓치는 사람은 어리석습니다. 우리는 우리에게 있는 모든 것을 들어 머리이신 그리스도를 위해 사용해야 합니다.


고린도전서 14

 

 

고린도전서 14장은 은사 문제를 다루면서 '모든 것을 품위 있게 하고 질서 있게 하라'(40절)고 결론을 냅니다. 모든 것을 적절하게 하고 질서 있게 해야 하는 이유는 우리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그리스도를 드러내기 위해서입니다. 자신을 드러내고 싶은 사람은 지식과 은사와 실력을 자랑하느라 여념이 없기에 아주 무질서합니다. 그리스도를 드러내고 싶은 사람은 자신의 지식과 은사와 실력을 적절하고 질서 있게 사용하기 위해 절제합니다. 고집을 부드럽게 만들고 모든 것을 적절하고 질서 있게 하고자 하는 사람은 참된 안식이 되시는 그리스도 안에 거해야 합니다. 그리스도가 우리의 미련하고 고집스러운 마음을 변화시켜 주십니다.


맥체인 성경 읽기 해설 1 / 126-127p 참고

 
 
 
반응형

댓글